OpenAI가 개발한 인공지능(AI) 언어 모델인 ChatGPT의 개발 히스토리와 버전별 차이점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자 한다.
1. GPT의 개발 히스토리
GPT 모델은 여러 버전이 있으며, 각 버전마다 성능과 용량의 향상이 이루어졌다. GPT의 첫 번째 버전인 GPT-1은 2018년에 발표되었으며, 이후 GPT-2와 GPT-3가 각각 2019년과 2020년에 소개되었다. 최근에는 GPT-4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ChatGPT가 개발되었다.
2. GPT 버전별 차이점
버전 | 발표 연도 | 파라미터 수 | 핵심기능 및 특징 |
GPT-1 | 2018 | 117M | Transformer 아키텍처 기반, 작업 특화적 전이학습 사용 |
GPT-2 | 2019 | 1.5B | 스케일 업한 모델, 더 많은 데이터와 연산 능력 사용 학습에 Task Conditioning, 제로샷 러닝(Zero-Shot Learning), 제로샷 태스크 트랜스퍼(Zero-Shot Task Transfer)등을 사용 |
GPT-3 | 2020 | 175B | 아주 큰 스케일의 모델, 많은 수의 파라미터로 높은 성능, 원문을 이해하는 능력 향상, 제로샷 러닝(ZSL), 원샷 러닝(OSL) 및 퓨샷 러닝(FSL) 성능 향상 |
InstructGPT | 2022 | 175B | GPT-3를 개량해 편향성을 억제하고, 문장 생성 정밀도를 향상 |
GPT-4 | 2023 | ? | 멀티모달(Multi-modal) 모델로 파라미터수를 기업비밀로 공개하지 않음 현재 유료버전에서만 사용가능함 |
3. 유료 버전에서 선택 가능한 GPT-4
![[ChatGPT] 초거대 AI 언어 모델(LLMs), Chat GPT의 버전별 차이점 - 2 image 3 [ChatGPT] 초거대 AI 언어 모델(LLMs), Chat GPT의 버전별 차이점 AI Research, ChatGPT, Think](https://i0.wp.com/15.164.228.147/wp-content/uploads/2023/03/image-3.png?resize=745%2C462&ssl=1)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언어 모델은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인간과 비슷한 언어 이해와 생성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GPT 시리즈의 발전을 통해 우리는 기계가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능력이 얼마나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을 통해 더욱 정교한 AI 언어 모델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지,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 어떻게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칠지 지켜보는 것이 흥미로울 것이며, ChatGPT와 같은 모델이 이미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인간의 창의력과 직관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도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미래의 AI 언어 모델이 어떤 성과를 이루어낼지 기대된다.